전체 글17 기대이론(expectation theory) 톨먼(E. Tolman)과 레윈(K. Lewin)에 의하여 제시된 동기부여과정이론을 기대이론(expectation theory)이라고 말한다. 기대이론은 브롬(V. Vroom)에 의하여 작업상황에 처음 적용되었다. 이들은 인간이 본능에 따라 행동한다는 생각을 거부하고, 이성을 가진 존재로써 행동의 방향에 대하여 의식적인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기대이론이란 예를 들어, 회사에서 사원이 열심히 노력을 한다고 해서 그의 업무목표가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능력이 부족하거나 운이 없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성과가 낮게 나타날수도 있으며, 반대로 성과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그에 상응해서 보상이 따르는 것도 아니다. 부정이나 정실 등이 작용하면 성과가 높다고 해도 허사가 된다. 또한 승진을 원하는 이에게 월급을 올려.. 2023. 4. 14. 허즈버그의 2요인이론 2요인이론(two factor theory)은 1950년대 말 미국의 경영심리학자 허즈버그(F. Hezberg)에 의하여 제시된 동기부여이론을 말한다. 이것을 또한 '동기위생이론'(motivation hygiene thor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허즈버그(F. Herzberg)는 다양한 직업을 가진 많은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에 관하여 크게 만족감을 주었던 요인들과 크게 불만족을 제공한 요인들을 수집했다. 그 조사로부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 동기요인'(motivation),직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위생요인'(hygiene factor)으로 호칭하고 2요인이론을 주장하였다. 그의 연구에서 특이했던 점은 직무에 관하여 만족감을 표시했던 요인들은 대부분 직무와 관련된 것이며,.. 2023. 4. 13.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맥클리랜드(D. McClelland)는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중에서 상위 3가지를 대상인 성취욕구, 친화욕구, 권력요구로 구분하여 성취동기이론을 전개하였다. 위의 3가지 욕구는 조직행동에서 특히 중요하다. 첫번째 청취욕구(need for achievement)는 업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하여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요구를 말한다.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일수록 목표성취에 대한 열망이 강하며 과업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다소 높은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으며, 스스로의 노력으로 목표를 달성하려고 한다. 또한 맡겨진 업무에 대하여 책임감이 있으며, 수행하고 있는 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좋아한다. 두번째 친화욕구(need for affiliation)은 다른 사람들과 우호적으로 지내려는 욕구를 말한.. 2023. 4. 13. 앨더퍼의 ERG이론 1969년에 앨더퍼(C. Alderfer)는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 대한 실증연구를 기초로 하여 ERG이론을 제시하였다. ERG이론이란 매슬로우의 이론을 보다 단순화시켜 인간의 욕구를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의 3가지로 분한것을 말한다. 존재욕구(existence needs)는 매슬로우가 언급한 생리적 욕구와 물리적인 안전욕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확보하는데 반드시 필요로 하는 욕구를 뜻한다. 관계욕구(relatedness needs)는 주변사람들과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말하며 이것은 매슬로우의 이론에서 심리적 안전욕구, 사회적 욕구, 다른 사람들로부터 얻어지는 존경을 욕구를 아울러서 말한다. 마지막으로 성장욕구(growth needs)는 매슬로우 이론의 내적존.. 2023. 4. 1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