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

Hall의 경력단계 모형과 Leach 모델 Hall은 조직행동록에서 몇 가지 이론적 발견을 토대로 개인의 경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경력성공 순환모형(carrer success cycle model)을 제시하였다. 경력성공 순환모형의 기본 가정은 인간은 자신의 직무로부터 보상 및 적극적 강화를 얻르려고 한다는 점을 가정했다. 보상은 봉급인상 등의 외적인 것과 성취감 같은 내적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가정은 보상받는 행위는 반복되다는 것이다. 세번째 가설은 사람들은 자부심을 증가시키려고 노력하고, 주부심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려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가정에서 경력성공 순화모형을 만들기 위해서서는 성공이 성공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해야한다. 작업목표는 독립적인 노력을 하도록 하여 목표를 달성하게 한다. 성과는 심리적인 성공감을 맛보게 하고.. 2023. 4. 15.
경력개발 목적과 경력욕구 경력개발 목적이란 사회 가치관의 변화에 대응하는 인간의 욕구와 그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하는데에 있다. 그리고 개인이 일생 동안에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서 인생목적의 이념실현과 조직의 목적을 동시에 실현시키는데 있다. 경력개발의 목적은 기업의 입장과 종업원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첫번째 경제적 효율성면에서 볼 때 기업이 추구하는 목적으로 종업원의 경력개발을 통해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다. 경력개발이란 결국 종업원에게 여러 종류의 직무를 수행할 수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뜻하는데, 기업은 미래에 필요한 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있다. 경력개발의 중요한 목적은 능력있는 종업원을 성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 두번째, 올바른 경력개발을 통해서 진부.. 2023. 4. 14.
Hawthorne 연구 미국 하버브대학의 산업연구 학과장이었던, 심리학자 Mayo는 1924년부터 Chicago 교외에 있는 Western Electic Company의 Hawthorne 공장에서 생산성과 조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했다. 최초의 연구는 생산성과 조명이라는 물리적 작업조건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으나, 결론적으로 생산성에 대한 영향은 작업장의 물리적 측면보다 인간적인 요소가 더욱 중요할 수있다는 당시로서는 의미심장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최초의 Hawthorne 연구는 1924년 11월에서 1927년 4월에 산업심리학 종업원의 선발과 배치 그리고 작업장의 환경적 조건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와 사기 그리고 동기 등의 더욱 복잡한 심리과정을 다루어야 함을 보여준 기념적인 연구다. Hawthorne연구.. 2023. 4. 14.
산업심리학의 초기 학자들(1) 산업심리학의 역사는 몇가지 단계로 나뉘어 구분할수 있으며, 구분의 가장 큰 기준은 1,2차 세계대전이다. 인류사의 최대 격변기 중에서 하나의 시기였던 세계대전을 통해서 산업심리학은 큰 변화와 발전을 이륙하였기 때문이다. 가장 초기의 산업심리학 역사는 심리학의 탄생과 궤적을 함께 하고 있으며 초기의 연구는 직무수행과 조직 효율성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다. 산업심리학 분야의 토대를 마련한 공헌자로는 다음의 학자들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첫번째로 Bryan은 1897년에 전보기사의 모스부호 학습능력에 대한 논문을 출판하면서 직업과 심리학을 연관시킨 최초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정한 직업을 가진 작업자의 심리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산업심리학이 출발하게 된 것이다. Bryan은 1903년에 심리학회 회장 수록 .. 2023.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