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3 감성적 능력 미국의 심리학자 골먼(D. Goleman)은 감성적 능력(emotional ability)이 자기감정인식, 감정제어, 자기동기부여, 감정이입, 사회적 기술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감성지능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들의 기초가 되는 자기감정인식은, 말 그대로 자신의 감정상태를 인식하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는 어떠한 감정에 사로잡히면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또는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서야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다. 감정의 동요가 일어날 때에는 그것을 알아차리는 것이 정서지능의 핵심이다.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지 못하면 감정을 통제할 길이없다. 감정제어는 자신의 감정을 제어할 수있는 능력이다. 자신의 감정을 다룰 줄 안다는 것은 감정을 억압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상태가 자신의 .. 2023. 4. 13. 인본주의 정신분석과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이 지나치게 인간을 기계론적, 결정론적, 분석론적으로 보는 것에 반발하면서 인본주(humanism)가 시작되었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자유의지와 자아실현과 같은 기본적인 욕구들을 가지고 있는 인간의 존엄성과 변화가능성을 존중하고 세상에 대한 주관적인 관점인 경험의 해석을 중시하며, 1960년 경에 매슬로우와 로저스에 의하여 인본주의가 제기되었다. 인본주의란 인간이 유전이나 환경에 의하여 결정된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가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는 존재라는 실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즉 인간은 외부에서 자극이 주어지면 자유롭게 반응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을 창조적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것을 인본주의 심리학의 자극반응 모델이라고 .. 2023. 4. 1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오스트리아 출신의 신경의사인 프로이트에 의하여 정신분석(psychoanalysis)은 창시되었다. 프로이트(S. Freud)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의식, 전의식, 무의식의 3층구조로 이해하였다. 의식(consciousness)은 현재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모든 감각, 생각, 감정 등 마음의 작용을 가리킨다. 전의식(preconsciousness)은 당장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떤 단서가 주어지고 기억하려고 노력하면 회상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이다. 무의식(unconsciousness)은 스스로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야기한다. 프로이트는 의식은 물위에 드러난 빙산의 일부에 불과하며, 실제로 인간의 거의 모든 행동은 무의식에 의하여 지배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인간의 모든 행위에는 반드시 원인.. 2023. 4.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