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심리학 및 부동산

허즈버그의 2요인이론

by 초코봉붕 2023. 4. 13.

2요인이론(two factor theory)은 1950년대 말 미국의 경영심리학자 허즈버그(F. Hezberg)에 의하여 제시된 동기부여이론을 말한다. 이것을 또한 '동기위생이론'(motivation hygiene thor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허즈버그(F. Herzberg)는 다양한 직업을 가진 많은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에 관하여 크게 만족감을 주었던 요인들과 크게 불만족을 제공한 요인들을 수집했다. 그 조사로부터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 동기요인'(motivation),직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위생요인'(hygiene factor)으로 호칭하고 2요인이론을 주장하였다. 그의 연구에서 특이했던 점은 직무에 관하여 만족감을 표시했던 요인들은 대부분 직무와 관련된 것이며, 불만족을 나타낸 요인들은 대부분 근무여건과 관련된 것이었다는 점이다. 직무만족과 직무불만족 모두에게 동시에 영향을 크게 준 요인은 거의 없었다. 이 조사를 근거로 해서 허즈버그는 만족과 불만족이 동일한 개념의 양극이 아니라 두개의 독립된 개념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것을 다시 말하자면, 만족의 반대는 불만족이 아니고 만족이 없는 상태라는 것을 주장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불만족의 반대도 마족이 아니라 불만족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는 지굼에 불만 없을 때 직무에 만족할 것이라는 전통적인 사고방식과 전혀 다른 관점을 제시한것을 뜻한다. 위생요인(hygiene thory)은 작업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요인으로써, 직무환경과 관련된 회사의 정책과 관리, 감독, 작업조건, 개인 상호간의 관계, 임금, 보수, 지위, 안전 등이 이에 속한다. 허즈버그가 이들 요소에 '위생'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이들이 단지 직무의 불만을 예방할 수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생요인을 '불만족요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면 동기요인(motivaion)은 작업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요인으로, 직무내용에 관련한 성취감, 인정, 도전감, 책임감, 성장발전 등이 이에 해당하며 동기요인은 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만족을 제공하므로 '만족요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허즈버그는 동기요인이 만족될 때 사람들을 동기화시킬 수있다고 주장했다. 허즈버그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위생요인이 충족되어도 자기 직무를 위해 더 이상 노력하지 않는다. 하지만 동기요인이 충족되는 경우에는 목표를 향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따라서 경영주들은 작업자들의 동기부여를 위해 성취감, 책임감, 성장발전 등에 체험할 수 있도록 직무확대나 직무충실화를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작업자들은 위생요인보다 동기요인을 추구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2요인이론은 경영실무자들에게 큰 인기가 있으나, 여러 이론적 연구가로부터 비판을 받는다. 그들이 비판하는 내용은 크게 3가지로 첫번째, 일부 요인에 대해서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두번째, 2요인이론은 개인의 차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으로 허즈버그는 작업자들이 동일한 작업환경에 대하여 모두 유사한 반응을 나타낼 것으로 가정하고 있기때문이다. 마지막으로 2요인이론에서는 직무만족과 동기부여를 동일하게 여긴다는 점으로 직무에 만족하는 종업원이 열심히 일하게 될것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지묵에 만족하는 근로자가 열심히 일해서 높은 성과를 올릴 것이라고 분명하게 장담할수 없다.  그렇기때문에 2요인이론이 이론적 연구가들에게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다.

'경영심리학 및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심리학의 초기 학자들(1)  (0) 2023.04.14
기대이론(expectation theory)  (0) 2023.04.14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0) 2023.04.13
앨더퍼의 ERG이론  (0) 2023.04.13
켈리의 귀인모델  (0) 2023.04.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