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심리학 및 부동산

켈리의 귀인모델

by 초코봉붕 2023. 4. 13.

심리학자 켈리(H. Kelley)는 귀인에 대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개념을 더욱 발전 시키는데 큰 역활을 한 심리학자이다. 그는 사람들의 행위에 대한 원인을 밝히는 경우에 일치성, 특이성 그리고 일관성의 3가지 기준으로 귀인판단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일치성(consensus)은 한 사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동일한 사건과 비교하여 귀인하려는 성향을 뜻한다. 같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모두 동일한 반을 보일 때 그들의 반응은 일치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보인 일치성이 높다면 외부요인에 귀인시키고, 일치성이 낮으면 내부요인에 귀인시킨다. 특이성(distinctiveness)은 한 사건을 현재 그 사람의 유사한 다른 사건과 비교하여 귀인하려는 성향을 뜻한다. 그의 행동반응이 자주 나타나는 것이 아니면 특이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특이성이 높으면 외부귀인에 해당되고, 특이성이 낮다면 내부귀인에 해당된다. 일관성(consistency)은 현재의 사건을 그 사람의 과거 사건들과 비교해서 귀인하려는 성향을 뜻한다. 어떤 행동이 예전부터 그 사람에게 자주 있었던 일이라면 일관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일관성이 높다면 내부요인에 귀인시키고, 일관성이 낮다면 외부요인에 귀인시킨다. 예를 들어서 이팀장 맡아서 수행한 업무A의 성과가 좋은편이었다면, 업무여건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외부요인에 원인을 돌릴 것이다. 반면에, A업무에 대한 다른 동료들의 성과가 모두 좋지 않았다면 그것은 이 팀장의 능력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들것이며 이것은 내부요인에 원인을 돌리게 된다. 다음으로 특이성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 이팀장이 유사한 업무 B,C,D에 대해서는 모두 성과가 좋지 않았다면, 업무 A가 쉬었기 때문이라고 외부요인에서 원인을 돌릴 것이지만, 이팀장이 나머지 유사한 업무에 대해 모두 성과가 높았다면 이는 이팀장의 능력 때문이라고 내부요인에 원인을 돌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일관성을 생각해 보자. 이팀장이 과거에는 업무A를 잘 해내지 못했고 유독 지난 분기에만 성과가 좋았다면, 우리는 지난 분기A업무가 쉬웠다고 외부요인에 원인을 돌리게 된다. 반면에 이팀장이 예전부터 A업무를 꾸준히 성과좋게 해냈다면, 이는 이팀장 능력이라고 내부요인에 원인을 돌리게 된다. 좀더 정확하게 귀인판단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치성, 특이성, 일관성의 3가지 판단기준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 바람직하다. 켈리의 주장에 의하면 높은 일치성, 높은 특이성, 낮은 일관성의 경우에 외부귀인을 가져오며, 낮은일치성, 높은 일관성의 경우는 내부귀인을 가져온다고 한다. 이팀장이 업무A에 보인 좋은 성과에 대하여 이를 적용해보자. 회사를 동료들의 업무에 A에 대한 실적이 모두 낮다면 즉, 낮은 일치성을 보이고  이팀장은 유사한 업무들의 실적이 좋았다면 즉, 낮은 특이성을 보이고 예전부터 업무A의 성과가 늘 우수했다면 즉, 높은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면 결론적으로 상사는 업무A에 대한 이팀장의 높은 실적이 그의 능력 때문이라고 내부귀인으로 돌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일치성, 특이성 일관서으이 3가지 기준 모두 동시에 사용해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영심리학 및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  (0) 2023.04.13
앨더퍼의 ERG이론  (0) 2023.04.13
감성적 능력  (0) 2023.04.13
인본주의  (0) 2023.04.1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0) 2023.04.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