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l은 조직행동록에서 몇 가지 이론적 발견을 토대로 개인의 경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경력성공 순환모형(carrer success cycle model)을 제시하였다. 경력성공 순환모형의 기본 가정은 인간은 자신의 직무로부터 보상 및 적극적 강화를 얻르려고 한다는 점을 가정했다. 보상은 봉급인상 등의 외적인 것과 성취감 같은 내적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가정은 보상받는 행위는 반복되다는 것이다. 세번째 가설은 사람들은 자부심을 증가시키려고 노력하고, 주부심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려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가정에서 경력성공 순화모형을 만들기 위해서서는 성공이 성공을 만들어낸다고 생각해야한다. 작업목표는 독립적인 노력을 하도록 하여 목표를 달성하게 한다. 성과는 심리적인 성공감을 맛보게 하고, 심리적인 성공감은 자부심을 증가시킨다. 물론 자부심이 증가하면 직무에 대한 몰입이 증가하고 증가된 직무몰입은 다시 보다 높고 큰 작업목표를 세우게 한다. 경력개발을 위한 경력관리 시스템을 Leach가 제안을 했다. 경력관리 시스템이란 종업원의 경력활용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프로그램이나 전략을 계획, 조직 및 통제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말한다. 모든 경력협상의 중요한 두 주체인 종업원 그리고, 조직은 예를 들어 각가의 사소의 양쪽 한자리를 차지하는 당사자로 표시된다고 하면, 시소 받침은 균형점의 역활을 하는데 이 시소 받침을 떼어버리게 되면 경력관리 시스템이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시소가 균형 상태를 이루고 있을 상태에서만 경력관리 시스템이 만족스럽게 운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균형상태에서는 조직과 종업원 사이에 많은 사전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시소가 조직 쪽으로 기울 경우 종업원은 기업에 중요한 계획투입 요소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반면에 시소가 종업원 쪽으로 기울 경우에는, 경력투입 요소가 조직으로부터 종업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 아래에서는 인사관리의 역활이 중요한데, 여기서의 인사관리 기능은 곧 시소를 움직이는 중심으로서 작동한다. 이 경력관리 시스템의 전제조건으로는 시간, 예산, 조직풍토, 새로운 역활, 의사소통 등이 있어야 한다.
'경영심리학 및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료주의(bureauracy) (0) | 2023.04.19 |
---|---|
직무평가란? (0) | 2023.04.18 |
경력개발 목적과 경력욕구 (0) | 2023.04.14 |
Hawthorne 연구 (0) | 2023.04.14 |
산업심리학의 초기 학자들(1) (0) | 2023.04.14 |
댓글